문학으로 바라보는 재난의 현대사: 역사 속 타자들 또는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 정치·외교 분야
아리엘
2025-02-27 17:09
60
0
본문
문학으로 바라보는 재난의 현대사: 역사 속 타자들

도서명 : 문학으로 바라보는 재난의 현대사: 역사 속 타자들
저자/출판사 : 유인실 , 이숙 , 최은영 , 최정 , 김은혜, 신아출판사
쪽수 : 327쪽
출판일 : 2021-11-29
ISBN : 9791156052777
정가 : 20000
차례
책머리에
1부 전쟁과 디아스포라
들어가며
고려인 디아스포라, 떠도는 자들의 이야기·이숙 - 김숨의 《떠도는 땅》
부유하는 경계인의 삶, 재일한인 극작가의 역사 쓰기·최정 - 정의신의 《야끼니꾸 드래곤》
다시 써야 할 근현대사, 잔류일본 여성이라는 표상 너머·김은혜 - 김진의 《숲의 이름》
차마 따라 죽지 못한 여성 ‘미망인(未亡人)’·최은영 - 박남옥의 〈미망인〉과 신상옥의 〈동심초〉
2부 분단 이후, 독재와 산업화
들어가며
문학적 기억으로 추념하는 실향민의 이야기·이숙 - 김원일의 〈도요새에 관한 명상〉, 《마당깊은집》, 〈마음의 감옥〉, 〈비단길〉
호스티스, 도시의 주변부를 떠도는 훼손된 육체·최은영 - 이호선의 〈영자의 전성시대〉
산업화의 그늘, 타자화된 여공들의 주체적 삶의 재현·유인실 - 석정남의 《공장의 불빛》, 장남수의 《빼앗긴 일터》, 송효순의 《서울로 가는 길》
검열의 시대, ‘부랑 고아’와 ‘가난’의 형상화·김은혜 - 황미나의 《우리는 길 잃은 작은 새를 보았다》
3부 사회적 참사와 트라우마
들어가며
피폭과 고통의 과거-미래들, 공포의 트라우마와 그 침묵의 소리들·유인실 - 허수경의 〈원폭수첩〉, 이성교 〈광도(히로시마) 연가〉
서사의 그물망으로 끌어올린 ‘생존’의 시간과 재현의 불/가능성·김은혜 - 한상훈·손영수의 《삼풍》
대구지하철 참사와 유족, 사회적 애도의 부재와 방치된 슬픔·최정 - 배삼식의 《먼 데서 오는 여자》
자본의 음험한 욕망과 생명 존중 안전불감증이 빚은 세월호 참사·유인실 - 강은교 외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방민호의 《내 고통은 바닷속 한 방울의 공기도 되지 못했네》, 《세월호는 아직도 항해 중이다》
4부 재난 ‘이후’, 은유되는 미래의 타자들
들어가며
감염의 불안과 공포의 현재성·이숙
혐오의 시대를 뚫고 나온 ‘이상한 몸’들·최정
새로운 생명의 출현·최은영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 정치·외교 분야

도서명 :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 정치·외교 분야
저자/출판사 : 함명식, 한국학술정보
쪽수 : 215쪽
출판일 : 2021-11-30
ISBN : 9791168012165
정가 : 18000
본서 요약
일러두기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표 18
제2절 연구 내용
제3절 연구 방법
제2장 중국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 분석
제1절 중국의 한국학 거시 지식 지형도Ⅰ
제2절 중국의 한국학 거시 지식 지형도Ⅱ
제3절 중국의 한국학 시기별 지식 지형도
제4절 중국의 한국학 미시 지식 지형도
제3장 대만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 분석
제1절 대만의 한국학 거시 지식 지형도
제2절 대만의 한국학 시기별 지식 지형도
제3절 대만의 한국학 미시 지식 지형도
제4장 한국학 지식 지형도 비교 분석과 확산 모델
제1절 중국과 대만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 비교
제2절 중국의 한국학 지식 확산 모델 - 새마을운동 사례
제3절 중국의 한국학 지식 지형도 오피니언 리더 분석
제4절 한국연구기금 지원 논문에 대한 분석
제5절 ‘한국의 한국학’과 ‘새로운 한국학’ 지식 지형도 비교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제안
제1절 연구 결과
제2절 정책적 제안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