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성장 또는 알수록 쓸모 있는 과학
로즈
2025-01-04 07:47
202
0
본문
탄력성장

도서명 : 탄력성장
저자/출판사 : 김원준 , 서용석 , 엄지용 , 조항정, 스마트북스
쪽수 : 232쪽
출판일 : 2021-02-05
ISBN : 9791190238397
정가 : 17000
추천사
초불확실성의 시대, 탄력성장이 답이다_성윤모(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블랙타이드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탄력성장_신성철(한국과학기술원 총장)
머리말_위기에 대한 관점을 바꿀 때, 역사는 새로 쓰인다
I부 블랙타이드와 탄력성장
I장 대전환과 위기: 블랙타이드의 시대
1. 위기의 거대화, 복합화, 상시화
2. 블랙타이드의 시대
블랙타이드란 무엇인가?
감염병과 블랙타이드
지구 온난화와 블랙타이드
글로벌 패러다임 변화와 블랙타이드
팍스 아메리카나의 종식과 블랙타이드
북한, 테러, 종교갈등과 블랙타이드
인공지능과 블랙타이드
고령화와 블랙타이드
금융위기와 블랙타이드
[잠깐] 위기에 대한 기존 개념들과 블랙타이드
2장 위기를 기회로: 탄력성장
1. 대한민국의 위기와 도약-코로나19와 소부장
메르스 위기와 코로나19 초기의 도약
소ㆍ부ㆍ장의 위기와 도약
2. 탄력성장(Resilient Growth)
탄력성장이란 무엇인가?
탄력성장의 세 가지 역량
회복시간 최소화 전략
[잠깐] 기존 탄력성 개념과 탄력성장
3. 탄력성장을 위한 단계별 역량
준비 역량
[잠깐] 블루닷, 인공지능으로 바이러스를 예측하다
대응 역량
도약 역량
[잠깐] 존슨앤존슨, 타이레놀 사망 사건을 혁신의 기회로 삼다
[잠깐] 후지필름, 본업 소멸 위기를 극복하다
2부 에너지와 탄력성장
3장 에너지 분야의 블랙타이드
1. 세계 에너지 시장의 변화와 위기
에너지 수급의 변동성 확대와 블랙타이드
지정학적 리스크와 새로운 타이드 / 국제 유가 폭락과 셰일업체 줄도산 / 유동성 자금 확대와 블랙타이드
에너지 전환과 계통 불안정성 증폭
세계 각국의 탄소중립 선언 / 에너지 계통 불안정성 증폭과 블랙타이드
기후정책의 비대칭성과 블랙타이드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입장 차이 / 탄소정책 시행에 따른 새로운 갈등 발생 / 기후변화 대응과 시장의 재편
[잠깐] 석유 거대 기업들의 몰락
글로벌 에너지 전환의 주요 변곡점과 새로운 타이드
변곡점 1. 신에너지 시장의 출현 / 변곡점 2. 전력과 자동차 산업의 융합 / 변곡점 3. 디지털 에너지 시장의 도래
2. 우리나라 에너지 시장의 변화와 위기
에너지 전환과 사회적 수용성 위기
에너지 시설 입지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 고조 / 탈원전 대 친원전 / 에너지 전환 속도에 대한 논쟁
신에너지 안보의 대두
코로나19가 바꾼 에너지 안보 / 재생에너지의 불안정성 / 또 다른 측면의 안보 위기, 미세먼지
[잠깐] 재생에너지, 우리나라에서 가능한 대안인가?
우리나라 에너지 산업의 국제 경쟁력 위기
에너지 산업의 현 상황 / 재생에너지 산업의 경쟁력 / 탄소 배출 제한과 국내 산업의 위기
[잠깐] 현재 우리나라의 에너지 시장구조
4장 탄력성장을 위한 에너지 정책의 대전환
1. 에너지 분야의 탄력성장
넷제로: 탄력성장의 가능성
에너지 위기 준비 역량 / 탄력적 위기대응 역량 / 에너지 도약 역량
2. 위기 완화를 위한 준비 역량
상시 위기 진단·평가 시스템 강화
제안 1. 장기적 에너지 위기 진단과 평가 및 대응 체계 수립 / 제안 2. 국가 에너지 위기 평가위원회 설치 / 제안 3. 위기대응 통합자원계획 수립
[잠깐]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 방안은 있는가?
에너지 및 자원 수급 안정성 향상
제안 1. 전략적 관점의 안정적인 에너지 자원 확보 / 제안 2. 에너지 자원 비축 및 수급 체계의 보완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과 이행
통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지역 수용성 강화
3. 탄력적 위기대응 시스템
위기대응을 위한 의사결정 기반 강화
제안 1. 에너지 빅데이터의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과 운용 / 제안 2. 위기대응에 대한 초학제적 연구 및 고급 인력 양성
분산 에너지원의 확대
분산 에너지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 제안_에너지 클라우드 구축
[잠깐] IT를 활용한 분산 에너지, 정말 가능한가?
위기대응을 위한 에너지(전력) 시장 제도 개편
제안 1. 민간 참여 유도를 위한 시장 제도적 유인 마련 / 제안 2. 전력시장 인센티브 강화 / 제안 3. 실시간 전력시장 운영 / 제안 4. 유연성 자원 확보 의무화
4. 탄력적 도약 역량 강화
대한민국 에너지의 도약 역량 강화를 위한 두 가지 제안
제안 1. 분산 에너지 및 에너지 저장 관련 신기술에 대한 투자 / 제안 2. 탄력적 에너지 거버넌스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의 혁신 산업화 제안
공급 측면 / 수요 측면
[잠깐] 온실가스 감축 기술로서 CCUS는 유효한가?
탄력적 도약을 위한 핵심기술
혁신 산업화 후보 1. 수소 에너지 / 혁신 산업화 후보 2. 분산자원 및 IT와 결합된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패키지형 에너지 시스템) / 혁신 산업화 후보 3. 장주기 대용량 에너지 저장 사업
[잠깐] 에디슨의 시스템 혁신기술
에너지 신산업 수출
에너지 분야의 FAANG? / 제안 1. 새로운 에너지 시장을 위한 제도적 보완 / 제안 2. 정책적 쐐기 전략(틈새 만들기 전략) / 제안 3. 혁신 기업화 / 제안 4. 에너지 수출 산업화 전략
[잠깐] 저렴한 전기요금이 신산업 창출의 걸림돌?
탄력적 에너지 거버넌스
제안 1. 에너지·환경 균형의 거버넌스 / 제안 2. 공기·업사기업 균형 발전 거버넌스
마무리 글_블랙타이드, 위기가 아니라 새로운 기회이다
부록_에너지 탄력성장을 이룬 대한민국의 미래 일기
알수록 쓸모 있는 과학

도서명 : 알수록 쓸모 있는 과학
저자/출판사 : 매트 브라운, Gbrain.지브레인.
쪽수 : 14쪽
출판일 : 2021-02-08
ISBN : 9788959796571
정가 : 15000
과학이란 무엇인가? 15
모든 과학자들은 이런 모습이다 16
과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머리가 좋아야 한다 25
연구자들은 항상 과학 방법을 사용한다 29
세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기 위해 과학자들에게 물어볼 필요는 없다. 상식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34
과학적 결론은 항상 옳다 37
과학과 종교는 항상 반대이다 41
무한대 그리고 그 너머 47
라이트 형제는 최초로 공기보다 무거운 물체를 날게 했다 48
스푸트니크는 우주에 올라간 첫 번째 인공 물체였다 52
중국의 만리장성은 달에서도 보이는 유일한 인공 구조물이다 55
우주 비행사들은 무중력 상태에 떠 있다 58
단열재가 없다면 대기로 재진입하는 우주선은 대기와의 마찰로 타버릴 것이다 61
계절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생긴다 64
위성은 행성을 돌고, 행성은 별 주위를 돌고 있다 67
명왕성에 탐사선을 보냄으로써 태양계 탐사가 끝났다 71
왜소 행성이란 무엇인가? 76
과학적이지 않은 법칙들과 정리들 78
물리학의 최전선 83
우리는 4차원 우주에 살고 있다 84
빛보다 빨리 달릴 수 있는 것은 없다 89
아무것도 블랙홀에서 탈출할 수 없다. 빛마저도 탈출할 수 없기 때문에 블랙홀을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93
잘못 알려진 발명가는? 97
재미있는 화학 103
화학물질은 해롭기 때문에 가능하면 피해야 한다. 천연 식품을 먹어라! 104
물은 100℃에서 끓고 0℃에서 언다 110
물질은 고체, 액체, 기체 중 한 가지 상태로 존재한다 113
물에는 전기가 잘 통한다 117 유리는 액체이다 120
원자는 전자들이 원자핵을 돌고 있는 작은 태양계이다 123
지구상의 생명체 127
지구의 나이에 비해 생명체가 존재한 기간은 아주 짧다 128
모든 생명체는 태양에 의존하여 살아간다 130
물고기가 바다를 떠난 첫 번째 동물이다 134
공룡의 멸종을 가져온 운석 충돌은 지구 역사상 최대 생명 멸종사건이었다 137
진화는 수천만 년에 걸쳐 일어나는 느린 과정이다 141
자연은 바퀴를 만들지 않았다 145
인간은 진화의 정점에 있다 149
인류의 라틴어 이름은 호모 사피엔스이다 153
현생인류는 네안데르탈인의 후손이다 158
과학적으로 잘못된 이름과 인용들 161
지구라는 이름의 행성 169
마지막 빙하기는 수천 년 전에 끝났다 170
지진은 리히터 규모로 측정한다 173
북반구에서는 물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빠지고 남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빠진다 175
에베레스트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178
무지개는 일곱 가지 색깔이다 181
우리 몸을 이루는 물질들 187
우리는 인간이다 188 머리카락과 손톱은 죽은 후에도 자란다 192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은 우측 뇌를 주로 사용하고 분석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은 좌측 뇌를 주로 사용한다 194
뇌는 전체가 뉴런으로 이루어져 있다 197
사이비 과학의 A-Z 201
유명한 과학자들 219
뉴턴은 머리에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중력이론을 발견했다 220
찰스 다윈이 최초로 진화론을 제안했다 223
아인슈타인은 학생 때 수학 성적이 좋지 않았다 230
DNA는 왓슨과 크릭이 발견했다 233
이 단어들을 올바로 읽을 수 있는가? 236
새로운 신화를 만들어보자 240
추가 정보 242
찾아보기 246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