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예사의 첫사랑 또는 단군은 정말
땅끝
2025-02-25 12:29
282
0
본문
곡예사의 첫사랑

도서명 : 곡예사의 첫사랑
저자/출판사 : 유차영, 행복에너지
쪽수 : 520쪽
출판일 : 2020-12-25
ISBN : 9791156028574
정가 : 25000
책머리에 트로트 르네상스·4
책의 요지·9
추천사·10
제1부 시대와 세대를 아우른 절창
1926 사의 찬미 윤심덕 / 윤심덕 21
1935 목포의 눈물 이난영 / 이난영 26
1940 화류춘몽 이화자 / 송가인 32
1942 찔레꽃 백난아 / 백난아 37
1953 봄날은 간다 백설희 / 장민호 41
1956 단장의 미아리고개 이해연 / 송가인 45
1959 대전 부르스 안정애 / 강태관 50
1961 카츄샤의 노래 송민도 / 송민도 56
노오란 샤쓰의 사나이 한명숙 / 한명숙 62
1964 동백 아가씨 이미자 / 하수의 무리수 67
님, 창살 없는 감옥 박재란 / 박재란 72
1965 섬마을 선생님 이미자 / 이미자 77
1966 동숙의 노래 문주란 / 문주란 82
수덕사의 여승 송춘희 / 송춘희 87
초우 패티김 / 패티김 91
1967 마포종점 은방울자매 / 은방울자매 98
1968 소양강 처녀 김태희 / 하유비 104
1970 바다가 육지라면 조미미 / 조미미 109
1971 아침이슬 양희은 / 양희은 113
물새 한 마리 하춘화 / 하춘화 118
제2부 권위와 낭만 충돌기에 피어난 노래꽃
1973 이별 패티김 / 패티김 125
1978 곡예사의 첫사랑 박경애 / 김나희 129
그때 그 사람 심민경 / 심수봉 133
감수광 혜은이 / 혜은이 137
1979 열애 윤시내 / 홍자 141
1982 진정인가요 김연자 / 송가인·김소유 147
남행열차 김수희 / 김수희 151
1984 사랑의 미로 최진희 / 이도진 155
수은등 김연자 / 정미애 161
영동 부르스 김연자 / 송가인 165
1986 천하장사(씨름의 노래) 김연자 / 정미애·두리 169
울면서 후회하네 주현미 / 김수찬·임영웅 174
첫차 서울시스터즈 / 추혁진 178
1987 립스틱 짙게 바르고 임주리 / 송가인 185
사랑밖엔 난 몰라 심수봉 / 뽕다발 190
1989 얄미운 사람 김지애 / 4공주와 포상휴가 195
신사동 그 사람 주현미 / 나태주 200
1991 추억으로 가는 당신 주현미 / 영탁 205
1992 또 만났네요 주현미 / 신인선·영탁 208
1993 갈색추억 한혜진 / 김희진진자라 211
제3부 전통가요 부활과 신·구세대의 융화
1993 오동나무 배호 / 오은주 217
1995 장녹수 전미경 / 정미애 223
1996 비나리(고독한 사랑) 심수봉 / 홍자 228
1999 백만 송이 장미 심수봉 / 심수봉 232
미움인지 그리움인지 최유나 / 양지원 236
천상재회 최진희 / 김호중 240
2002 열두 줄 김용임 / 정다경 244
2003 진달래꽃 마야 / 마야 250
너는 내 남자 한혜진 / 나태주 255
2004 어머나 장윤정 / 트롯여친(송가인) 261
2005 쓰리랑 유지나 / 정미애 266
꽃 장윤정 / 트롯신사단 271
우연히 우연이 / 맘마미애 275
2006 쓰러집니다 서주경 / 트롯여신 279
2008 우지마라 김양 / 김양 283
2009 고추 유지나 / 유지나 287
내 삶의 이유 있음은 이미자 / 영탁 291
당신이 좋아 남진·장윤정 / 한이재 298
십분 내로 김연자 / 김소유·뽕다발 303
사랑의 배터리 홍진영 / 4공주와 포상휴가 309
제4부 유행가 속으로 녹아들어 온 철학
2010 송인(초혼Ⅱ) 장윤정 / 김나희 317
사랑의 초인종 LPG / 4공주와 포상휴가 322
2011 오래오래 살아주세요 송현섭·김용임 / 김소유 328
부초 같은 인생 김용임 / 사형제 332
돌리도 서지오 / 김희재 337
2012 무슨 사랑 유지나 / 송별이 342
오라버니 금잔디 / 하유비 347
미운 사랑 진미령 / 임영웅 351
2013 아모르 파티 김연자 / 트롯여친·김수찬 356
인생 노래방 최유나 / 최유나 361
2014 사랑님 김용임 / 김은빈 366
산다는 건 홍진영 / PX 372 바램 노사연 / 임영웅 377
아모레 미오 유미 / 김희진 381
2015 백세 인생 이애란 / 패밀리가 떴다 385
2016 밤열차 김연자 / 두리 391
성산 일출봉 조은심 / 조은심 395
항구 아가씨 조은심 / 조은심 402
2017 거기까지만 송가인 / 송가인 407
상사화 안예은 / 홍자 412
제5부 오선지 밖으로 튀어나온 트로트 르네상스
2018 초생달 김소유 / 김소유 419
살아생전에 홍자 / 홍자 424
2019 무명배우 송가인 / 송가인 428
숫자인생 김소유 / 김소유 433
여기요 홍자 / 홍자 437
홍콩 익스프레스 요요미 / 요요미 441
흥부자 김양 / 김양 447
목포행 완행열차 장윤정 / 장윤정 452
부탁 유지나 / 유지나 455
블링블링 김연자 / 김연자 460
엄마 아리랑 송가인 / 송가인 466
이별의 영동선 송가인 / 송가인 473
청바지 박주희 / 박주희 478
2020 운명에게 장윤정 / 장윤정 482
여인의 눈물 주현미 / 주현미 485
꽃댕기 사랑 한유채 / 한유채 489
사랑은 욕심쟁이야 신보경 / 신보경 494
화끈한 사랑 김세림 / 김세림 498
다 몰라 설녹수 / 설녹수 502
이별의 버스정류장 유산슬·송가인 507
맺음말·512
출간후기·515
단군은 정말

도서명 : 단군은 정말
저자/출판사 : 박용준, 기역
쪽수 : 248쪽
출판일 : 2020-12-24
ISBN : 9791191199031
정가 : 17000
1. 단군 이야기의 주요 장면들 016
2. 환웅은 왜 인간 세상에 가려고 했을까 021
환웅은 왜 하늘을 떠났을까 022 | 환웅의 아버지는 누구였을까 024
나라를 세울 운명은 누구에게 달렸을까 027
3. 환웅은 정말 하늘에서 내려왔을까 029
왕은 왜 아이들을 죽였을까 030 | 환웅은 왜 하늘에서 왔다고 했을까 032
환인은 왜 천부인을 주었을까 033 | 천부인은 무엇이었을까 035
4. 단군은 정말 평화롭게 나라를 세웠을까 040
극락세계의 맞은편에는 무엇이 있을까 040 | 환웅은 왜 삼천의 무리를 데리고 왔을까 042 | 〈제왕운기〉의 귀신 삼천은 누구였을까 047
5. 환웅은 인간 세상을 어떻게 다스렸을까 051
환웅은 왜 산에 자리잡았을까 052 | 환웅이 다스리던 때에도 법은 있었을까 054
6. 홍익인간은 원래 어떤 뜻이었을까 059
홍익인간이란 말은 언제 나왔을까 060 | 홍익인간은 어떻게 민주국가의 이념이 되었을까 064 | 홍익인간은 어떻게 실현되었을까 067 | ‘홍익인간’에는 어떤 의도가 있었을까 069
7. 단군 이야기의 주인공은 누구였을까 073
누가 단군 이야기를 이끌었을까 075 | 단군 이야기에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 077
8. 곰과 호랑이의 정체는 080
왜 곰과 호랑이가 나왔을까 081 | 곰과 호랑이는 누구였을까 085
곰과 호랑이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087 | 곰과 호랑이는 과연 있었을까 090
9. 곰과 호랑이가 살던 동굴은 어디였을까 092
인간은 언제 동굴 바깥으로 나왔을까 093 | 굴속에는 누가 살았을까 095
굴속에서는 어떻게 살았을까 099
10. 곰과 호랑이는 왜 인간이 되려 했을까 102
어떻게 하면 인간이 될 수 있을까 106
11. 쑥과 마늘, 둘 중에 하나만 먹어라 113
쑥과 마늘은 같은 맛일까 114 | 치명적인 마늘의 맛 116
12. 아이를 낳을 준비 122
신화가 만들어지는 순서 124 | 굴속에서 보낸 시간의 의미 129
훗날 출산을 위하여 133
13. 호랑이는 왜 사람이 되지 못했을까 136
왜 한 마리만 인간이 되었을까 136 | 호랑이는 왜 사냥당했을까 138
호랑이는 왜 금기를 깼을까 142
14. 단군은 왜 곰에게서 태어났을까 150
인간과 짐승의 이야기는 왜 비극으로 끝날까 151 | 곰은 왜 단군 이야기에서 빠졌을까 154 | 곰은 어떻게 단군을 낳을 수 있었을까 157
15. 단군은 몇 번째 아이였을까 159
곰은 왜 혼인할 사람을 찾지 못했을까 160 | 환웅은 왜 자기 모습을 숨긴 채 혼인했을까 164 | 단군은 왜 적자로 태어나지 않았을까 166
16. 단군은 왜 나라 이름을 조선이라고 지었을까 169
조선이라는 이름은 언제 생겼을까 170 | 조선은 왜 ‘조선’일까 172
17. 단군은 언제 나라를 세웠을까 178
단군은 왜 요 임금 때 나라를 세웠을까 180 | 고조선은 언제 세워졌을까 184
단군을 어디까지 알 수 있을까 193
18. 단군은 정말 1,500년 동안 나라를 다스렸을까 196
단군은 왜 그리 오래 살았을까 196 | 단군은 나라를 잘 다스렸을까 201
단군은 왜 1,500년씩이나 다스렸을까 203
19. 단군은 왜 물러났을까 207
기자는 고조선에 왔을까 209
단군, 요 임금, 기자箕子는 서로 어떤 관계였을까 210
단군은 왜 숨어 버렸을까 213 | 물러난 단군은 어떻게 되었을까 219
20. 세상은 누가 만들었을까 221
단군은 왜 세상을 만들지 않았을까 222 | 세상은 어디로부터 생겨났을까 227
부록
참성단은 단군이 쌓았을까 233
단군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들 239
일연이 〈삼국유사〉에 정리한 단군 이야기 244
이승휴가 〈제왕운기〉에 정리한 단군 이야기 24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