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공동체의 현실과 대응(지역 공동체와 민속학연구 총서 1)(양장본 Hardcover)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지역 공동체의 현실과 대응(지역 공동체와 민속학연구 총서 1)(양장본 Hardcover)

로즈
2023-11-24 05:31 239 0

본문

지역 공동체의 현실과 대응(지역 공동체와 민속학연구 총서 1)(양장본 Hardcover)
9788928518227.jpg


도서명 : 지역 공동체의 현실과 대응(지역 공동체와 민속학연구 총서 1)(양장본 Hardcover)
저자/출판사 : 이영배,이진교,이중구,배영동,이용범,정은정,이한승,한, 민속원
쪽수 : 416쪽
출판일 : 2023-02-25
ISBN : 9788928518227
정가 : 36000

머리말

제1부 지역 공동체의 재인식과 문제설정

제1장 인류세와 지방소멸 시대, 공동체문화의 가능성∥이영배
1. 인류세와 지방소멸의 상관적 의의
2. 인류세와 그 비판, 그리고 공-산의 양식
3. 지방소멸 현상과 공동체문화 실천의 양가성
4. 가치실천 양식의 전환과 함께 살기의 가능성
5. 가치실천 양식으로서 공동체문화의 가능성

제2장 귀농인의 지역사회 적응과 사회적 자본∥이진교
1. 소멸 위기의 농촌과 귀농인의 중요성
2. 귀농인의 다양성과 농촌사회 적응의 복잡성
3. ‘기대’와 ‘차별’, 귀농인에 대한 이중적 시선
4.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대안적 존재로서의 가능성
5. 요약과 전망

제3장 동해안 지역의 기후변화와 어촌의 현실∥이중구
1. 기후변화를 보는 시각과 사례 연구의 필요성
2. 수온의 양극화와 어종의 변화
3. 해저 생태계의 변화와 복원의 딜레마
4. 폭풍해일의 습격과 생존의 위협
5. 기후위기와 어촌의 현실

제2부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전통과 변환

제4장 한말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역할 형평성 전통∥배영동
1. 머리말
2. 안동 을미의병 창의 시 문중별 모금의 형평성
3. 영주 순흥면 성황당 중건기금 모금의 형평성
4. 영해향교 강학소 창건기금 모금의 문중별 형평성
5. 맺음말
부록 : 영주 순흥 두레골 성황당 중건을 위한 모금 기부자 명부(募緣文의 부록)

제5장 해안 지역 민간신앙의 용신(龍神)과 자연 이해∥이용범
1. 용신에 대한 자연 중심적 설명의 한계
2. 의례 대상으로서의 해안 지역 용신
3. 해안 지역 용신의 기능
4. 의례 형식과 연행 방식을 통해 본 해안 지역 용신의 위상
5. 해안 지역 용신과 자연 이해의 문제
6. 해안 지역 용신과 자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

제6장 한국 무속 ‘표시 체험’에 대한 연구∥정은정
1. 표시 체험 개괄 및 문제 제기
2. 표시 체험의 사례 및 분류
3. 표시 체험의 해석 과정
4. 표시 체험의 의미와 역할
5. 요약과 전망

제7장 한국전쟁 이후 옹기공방에서 여성의 역할 변화∥이한승
1. 옹기공방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주목
2. 1980년대까지 옹기공방에서 여성의 역할
3. 1990년대 이후 옹기공방에서 여성의 참여와 역할 변화
4. 옹기공방에서 여성 역할의 유형과 의미
5. 요약과 제언

제3부 지역 문화의 활용 가능성과 전망

제8장 밀양농악의 전승과 의의∥한양명
1. 농악의 무대화와 밀양농악
2. 밀양농악의 창출과 활동 : 1971년~1981년
3. 밀양농악의 잠복과 일시적 재현 : 1982년~1990년대 중반
4. 밀양농악의 재구성과 전승 : 1998년~현재
5. 밀양농악의 지속과 변화
6. 밀양농악 전승의 함의

제9장 ‘80년대’ 저항 문화와 민속의 지역사회 귀환∥이진교
1. 80년대 민속의 재발견과 한국문화의 역동성
2. 영양댐 건설 저지 활동과 장파천 문화제
3. 문화제의 실천과 민속의 재현
4. 저항 문화의 지역사회 전파와 수용
5. 문화적 함의와 전망

제10장 고향영화(Heimatfilm)에 대한 독일 Tübingen대학 민속학연구소의 연구 배경과 방법∥이상현
1. 들어가며
2. 고향과 대중매체에 대한 EKW의 연구 특징
3. 고향영화의 역사와 유형 그리고 EKW의 연구 대상과 방법
4. 마무리

제11장 20세기 후반 문경도자기의 기종과 정체성 변화∥서 별
1. 문경지역 전통도자기와 사기장의 현황소개
2. 사기장들의 생계유지를 위한 대안적 노력
3. 미술상과 일본 상인의 유입과 ‘문경도자기’의 재탄생
4. 일본 다기의 영향을 받은 ‘문경다기’ 제작
5. 요약과 차후의 방향성

참고문헌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