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진체 서풍의 미학세계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동국진체 서풍의 미학세계

로즈
2023-11-24 05:31 343 0

본문

동국진체 서풍의 미학세계
9788958175230.jpg


도서명 : 동국진체 서풍의 미학세계
저자/출판사 : 문정자,저자,글,, 다운샘
쪽수 : 550쪽
출판일 : 2023-02-01
ISBN : 9788958175230
정가 : 37000

추천의 말ㆍ03
저자의 말ㆍ09
일러두기ㆍ20

Ⅰ. 온유돈후(溫柔敦厚) 시대의 서예미학/21
1. 옥동 이서의 서예심미이상과 ‘옥동체’의 상관성 23
1) 서론 23
2) 옥동의 천인합일적 서예심미이상 26
⑴ 천도지향(天道指向)의 전신론(傳神論)ㆍ27
⑵ 음양조화(陰陽造化)의 중정론(中正論)ㆍ32
⑶ 생생불이(生生不已)의 자연형상론(自然形象論)ㆍ38
3) ‘옥동체’에 투영된 서예심미이상 44
⑴ 해행서에 투영된 조화무궁(造化無窮)의 자연미학ㆍ45
⑵ 초서에 투영된 기운생동(氣韻生動)의 생명미학ㆍ56
4) 결론 64
2. 공재 윤두서의 예술심미이상과 ‘공재체’의 상관성 67
1) 서론 67
2) 공재의 서화연원과 교유관계 70
3) 공재의 예술심미지향의 특성 77
⑴ 중화지향(中和指向)의 심미이상ㆍ78
⑵ 상고지향(尙古指向)의 심미이상ㆍ82
4) ‘공재체’와 시서화 일률의 예술세계 87
⑴ 전예서 작품으로 본 고고미(高古美)ㆍ88
⑵ 해행초서 작품으로 본 청고전아미(淸高典雅美)ㆍ105
5) 결론 125

Ⅱ. 개성발현 시대의 서예미학/129
1. 백하 윤순의 서예심미이상과 ‘백하체’의 상관성 131
1) 서론 131
2) 왕희지체 수용과 학서 범주의 확장 136
3) 백하의 서예심미이상의 두 갈래 150
⑴ ‘심획’에 부여된 생명의 서예미학ㆍ151
⑵ 창경발속의 심미이상과 조형미학의 조화ㆍ157
4) 백하의 서예심미이상과 ‘백하체’의 상관성 163
⑴ 전ㆍ예서에 투영된 심미이상ㆍ163
⑵ 해서에 투영된 심미이상ㆍ167
⑶ 행서에 투영된 심미이상ㆍ177
⑷ 초서에 투영된 심미이상ㆍ193
5) 결론 207
2. 원교 이광사의 서예심미이상과 ‘원교체’의 상관성Ⅰ 211
1) 서론 211
2) 원교의 학서관과 천기지묘(天機之妙)구현의 서예심미이상 214
⑴ 전ㆍ예서(篆·隸書) 중시의 학서관(學書觀)ㆍ215
⑵ 고질미(古質美)의 지향ㆍ220
3) ‘원교체’에 투영된 심후창고(深厚蒼古)의 서예심미이상 223
⑴ 전서에 투영된 심미이상과 필법의 조화ㆍ224
⑵ 예서에 투영된 심미이상과 필법의 조화ㆍ235
4) 결론 245
3. 원교 이광사의 서예심미이상과 ‘원교체’의 상관성Ⅱ 248
1) 서론 248
2) 원교의 천기지묘(天機之妙)구현의 서예심미이상 249
⑴ 오체일법론(五體一法論)과 길곡법(佶曲法)ㆍ250
⑵ 천기조화의 묘리와 의소울발(欹䟽鬱拔)의 조형ㆍ255
3) ‘원교체’에 투영된 생명서예론 259
⑴ 해행서에 투영된 생명서예론과 필법의 조화ㆍ260
⑵ 행초서에 투영된 생명서예론과 필법의 조화ㆍ267
4) 결론 277

Ⅲ. 서풍변화 시대의 서예미학/279
1. 창암 이삼만의 서예심미이상과 ‘창암체’의 상관성 281
Ⅰ) 서론 281
2) 창암의 서법자연(書法自然)의 서예심미이상 283
⑴ 상반응합(相反應合)의 조형원리ㆍ284
⑵ 복귀어자연(復歸於自然)의 친자연성ㆍ288
⑶ 생동감과 필세를 중시한 서가품평ㆍ292
3) 창암의 생명성 형성의 필법이론 295
⑴ 마제잠두법(馬蹄蠶頭法)의 운용ㆍ297
⑵ 축세(縮勢)와 삽세(澁勢)의 운용ㆍ300
⑶ 영자팔법(永字八法)의 운용ㆍ303
4) ‘창암체’에 투영된 자연친화적 생명미학 306
⑴ 전·예서에 투영된 자연미학ㆍ306
⑵ 해·행서에 투영된 자연미학ㆍ311
⑶ 초서에 투영된 자연미학ㆍ318
5) 결론 326
2. 추사 김정희의 독자적 서파관과 예술심미이상 329
1) 서론 329
2) 옹방강·완원의 서론 수용과 독자적 서파관의 전개 332
3) ‘추사체’를 형성한 기층적 예술심미이상 344
⑴ 학문과 인격이 온축된 청고고아미(淸高古雅美) 지향ㆍ345
⑵ 시서화 일체적 묘경의 신운미(神韻美) 지향ㆍ350
⑶ 존고정신에서 형성된 고졸미(古拙美) 지향ㆍ355
⑷ 자연천기에서 발현된 기괴미(奇怪美) 지향ㆍ361
3) 결론 366
3. 추사 김정희의 시서화 일체적 묘경의 미의식과 ‘추사체’ 369
1) 서론 369
2) ‘추사체’에 발현된 천기자연의 미의식 371
⑴ 전·예서에 투영된 ‘고졸미(古拙美)’의 심미이상ㆍ372
⑵ 전·예서에 투영된 ‘기괴미(奇怪美)’의 심미이상ㆍ382
⑶ 해·행서에 투영된 ‘신운미(神韻美)’의 심미이상ㆍ393
⑷ 해·행서에 투영된 ‘청고고아미(淸高古雅美)’의 심미이상ㆍ398
3) 결론 413

Ⅳ. 동국진체 서가의 서예미학과 ‘동국진체’ 서풍/415
1. 동국진체 서풍의 서예미학적 특질 417
1) 서론 417
2) 동양적 자연관과 자연미 존중의식 421
3) 동국진체 서가의 철학적 사유와 서예미학의 상관성 424
⑴ 옥동 이서의 천인합일적 사유와 옥동체의 특질ㆍ424
⑵ 원교 이광사의 만물일체적 사유와 원교체의 특질ㆍ434
⑶ 창암 이삼만의 서법자연적 사유와 창암체의 특질ㆍ444
4) 동국진체 서풍의 서예미학적 특질 455

Ⅴ. 한국 전통서예정신의 상징 ‘동국진체’/461
1. ‘동국진체’ 서풍의 독창성에 관한 실증적 탐색 463
1) 서론 463
2) 이서와 이광사의 왕희지체 선호의식 465
⑴ 이서의 왕희지체 선호의식ㆍ466
⑵ 이광사의 왕희지체 선호의식ㆍ468
3) 이서와 이광사의 독창적 서예미학 469
⑴ 이서의 중정(中正)의 미학과 유신론(留神論)의 필법ㆍ470
⑵ 이광사의 첩·비학 겸수론과 천기지묘 구현의 심미이상ㆍ472
4) ‘옥동체’와 ‘원교체’의 창신의 미학세계 474
⑴ ‘옥동체’에 투영된 독창적 미의식ㆍ474
⑵ ‘원교체’에 투영된 독창적 미의식ㆍ479
5) 결론 484
2. ‘동국진체’ 정신의 계승과 그 영구적 명칭의 모색 487
1) 서론 487
2) ‘조선(朝鮮)’이란 명칭의 유래와 ‘조선진체’ 490
⑴ ‘조선진체’란 명칭의 제안ㆍ490
⑵ ‘조선’이란 국호(國號)의 출현 배경ㆍ495
3) ‘동국’이란 명칭과 ‘동국진체’의 제 면모 500
⑴ ‘동국’과 ‘동국진체’ 명칭의 유래ㆍ500
⑵ ‘동국진체’의 개혁성과 동국진체 서가의 범주 확장ㆍ505
⑶ ‘동국진체’의 미학적 특성과 일반적 인식의 오류ㆍ510
4) ‘동국진체’ 정신의 계승과 ‘한국진체’ 513
5) 결론 518

Ⅵ. ‘동국진체’의 특성과 그 계승적 전망 521
1. 동국진체는 한국서예사와 예술사의 꽃이다 523
2. 동국진체는 서예개혁정신이자 서예이론이며 서예작품이다 525
3. 동국진체는 현재진행형으로 존재하는 우리 민족의 예술혼이다 528
4. ‘동국진체’는 ‘한국진체’로 계승, 발전되어야 한다 530

후기 533
1. 동국진체 주인공들을 만나다 533
2. 위대한 인물은 어느 시대에나 출현한다 535
3. 본서의 연구방식이 현대의 서예비평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539

찾아보기 541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