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 도작문화의 기원(김포의 고대미를 중심으로)
땅끝
2023-10-25 13:26
285
0
본문
한국 고대 도작문화의 기원(김포의 고대미를 중심으로)

도서명 : 한국 고대 도작문화의 기원(김포의 고대미를 중심으로)
저자/출판사 : 임효재,편,저자,글,, 학연문화사
쪽수 : 300쪽
출판일 : 2000-11-01
ISBN : 9788955080056
정가 : 10000
환영사
서문
Ⅰ. 한국 선사시대의 농경 ...17
Ⅱ. 식물유체 복원법의 발달과 식물규소체 분석의 고고학적 의의 ...33
Ⅲ. 김포 니탄층 유적과 그 당시의 고환경 연구 ...77
Ⅳ. 김포 도사리 니탄층의 분석과 그 의의 ...119
Ⅴ. 식물학상으로 본 한국 고대미의 특성 ...143
Ⅵ. 신석기시대 토기치사에서 검출된 벼의 plant-opal ...173
Ⅶ. 농경도구를 통해 본 한국 선사농경의 기원 ...193
Ⅷ. 중국 선사시대 도작유적의 새로운 발전과 한반도로의 전파 ...227
Ⅸ. 일본 원시농경과 한국과의 관계 ...253
Ⅹ. 한국 선사시대의 사회정치적 발전과 농경과의 관계 ...269

도서명 : 한국 고대 도작문화의 기원(김포의 고대미를 중심으로)
저자/출판사 : 임효재,편,저자,글,, 학연문화사
쪽수 : 300쪽
출판일 : 2000-11-01
ISBN : 9788955080056
정가 : 10000
환영사
서문
Ⅰ. 한국 선사시대의 농경 ...17
Ⅱ. 식물유체 복원법의 발달과 식물규소체 분석의 고고학적 의의 ...33
Ⅲ. 김포 니탄층 유적과 그 당시의 고환경 연구 ...77
Ⅳ. 김포 도사리 니탄층의 분석과 그 의의 ...119
Ⅴ. 식물학상으로 본 한국 고대미의 특성 ...143
Ⅵ. 신석기시대 토기치사에서 검출된 벼의 plant-opal ...173
Ⅶ. 농경도구를 통해 본 한국 선사농경의 기원 ...193
Ⅷ. 중국 선사시대 도작유적의 새로운 발전과 한반도로의 전파 ...227
Ⅸ. 일본 원시농경과 한국과의 관계 ...253
Ⅹ. 한국 선사시대의 사회정치적 발전과 농경과의 관계 ...269
상점이름: 마인드북
사이트주소 : http://kdgmall.kr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