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인박사
땅끝
2023-11-12 08:33
296
0
본문
왕인박사

도서명 : 왕인박사
저자/출판사 : 박광순,정성일,저자,글,, 주류성
쪽수 : 644쪽
출판일 : 2022-12-28
ISBN : 9788962464979
정가 : 40000
간행사
Ⅰ. 서장
역사학 분야의 왕인박사 연구 현황과 과제
- 정성일 (광주여자대학교 교수)
Ⅱ. 왕인박사의 탄생지에 대한 고찰
제1장 조선시대 왕인박사에 대한 인식의 전개와 그 의미
- 하우봉 (전북대학교 명예교수)
제2장 남용익의 통신사행을 통하여 본 왕인
- 구지현 (선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제3장 조선 통신사와 왕인박사의 만남
- 大澤研一 (일본 大阪歴史博物館 관장)
제4장 근대 이전 왕인박사 영암 출생설의 배경
- 박남수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제5장 왕인王仁 박사 기록 데이터베이스 편찬의 필요성과 그 방안
- 허경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객원교수)
제6장 1925년 『창명』에 보이는 왕인박사 영암 출신설
- 김덕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제7장 1927년 영암 답사기에 보이는 왕인박사 전승
- 정성일 (광주여자대학교 교수)
Ⅲ. 왕인박사에 대한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향
제1장 한·일 양 국민의 상호인식과 호혜정신
- 박광순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제2장 한국의 역사서와 연구물에 그려진 왕인박사
- 박남수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제3장 일본의 역사서와 연구물에 그려진 왕인박사
- 나행주 (건국대학교 강의교수)
제4장 한국의 교과서에 그려진 왕인박사
- 박해현 (초당대학교 교수)
제5장 일본의 교과서에 그려진 왕인박사
- 김선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
Ⅳ. 왕인박사에 대한 추모와 상징의 역사
제1장 왕인박사 현창사업 성과와 과제
- 박광순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제2장 일본 민간단체의 왕인박사 현창사업의 현황과 과제
- 김선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
제3장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왕인박사 유적지 조성사업 현황과 과제
- 松本茂幸 (前 일본 佐賀県 神埼市 시장)

도서명 : 왕인박사
저자/출판사 : 박광순,정성일,저자,글,, 주류성
쪽수 : 644쪽
출판일 : 2022-12-28
ISBN : 9788962464979
정가 : 40000
간행사
Ⅰ. 서장
역사학 분야의 왕인박사 연구 현황과 과제
- 정성일 (광주여자대학교 교수)
Ⅱ. 왕인박사의 탄생지에 대한 고찰
제1장 조선시대 왕인박사에 대한 인식의 전개와 그 의미
- 하우봉 (전북대학교 명예교수)
제2장 남용익의 통신사행을 통하여 본 왕인
- 구지현 (선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제3장 조선 통신사와 왕인박사의 만남
- 大澤研一 (일본 大阪歴史博物館 관장)
제4장 근대 이전 왕인박사 영암 출생설의 배경
- 박남수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제5장 왕인王仁 박사 기록 데이터베이스 편찬의 필요성과 그 방안
- 허경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객원교수)
제6장 1925년 『창명』에 보이는 왕인박사 영암 출신설
- 김덕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제7장 1927년 영암 답사기에 보이는 왕인박사 전승
- 정성일 (광주여자대학교 교수)
Ⅲ. 왕인박사에 대한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향
제1장 한·일 양 국민의 상호인식과 호혜정신
- 박광순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제2장 한국의 역사서와 연구물에 그려진 왕인박사
- 박남수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제3장 일본의 역사서와 연구물에 그려진 왕인박사
- 나행주 (건국대학교 강의교수)
제4장 한국의 교과서에 그려진 왕인박사
- 박해현 (초당대학교 교수)
제5장 일본의 교과서에 그려진 왕인박사
- 김선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
Ⅳ. 왕인박사에 대한 추모와 상징의 역사
제1장 왕인박사 현창사업 성과와 과제
- 박광순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제2장 일본 민간단체의 왕인박사 현창사업의 현황과 과제
- 김선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선임연구원)
제3장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왕인박사 유적지 조성사업 현황과 과제
- 松本茂幸 (前 일본 佐賀県 神埼市 시장)
댓글목록0